<p></p><br /><br />이렇게 놀라운 기술로 우리 미래를 꿈꾸게 하는 이들도 있지만, 다른 한편에는 우리의 푸근한 과거를 지켜주는 이들도 있습니다. <br> <br>수십 년 간 그 자리 그대로 있어온 장인들을 만나봤습니다. <br> <br>김진이 간다, 시작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김진] <br>모든 것이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는 참 재빠른 세상입니다. <br>당연한 듯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던 것들이 어느 순간 주변에서 자취를 감춰버리곤 하는데요, 그런데, 이런 변화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수십 년간 묵묵히 걸어온 사람들이 있습니다. 오늘은 우리 주변의 숨은 장인들을 만나보겠습니다. <br> <br>서울 혜화동. 낡은 외관의 이발소는 동네의 터줏대감이 되었습니다. <br>80여 년 간 한 자리를 지켜온 이발소. <br>곳곳에 세월의 손때가 묻었지만 그래도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습니다. <br>전 주인에게 가게를 넘겨받은 지덕용 씨는 이발경력이 65년이나 되지만 지금도 매일 아침 거울을 닦습니다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이발소는 거울이 생명이기 때문에 거울이 나쁘면 손님 얼굴이 일그러지기 때문에 (매일 닦아요.) <br> <br>문을 열자마자 단골손님들이 찾아옵니다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어서와요. 들어와 <br> <br>반갑게 들어선 손님은 친구인지 손님인지 분간이 안 갑니다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혜화동 본토박이세요. <br> <br>[단골손님] <br>우리 사장님하고 혜화초등학교 동창이에요. <br> <br>[피디] <br>그럼 얼마나 되셨어요. 여기 오신지? <br> <br>[단골손님] <br>여기서 태어나서 여기서 자랐으니까 80년이네. 우리 아버지부터 와서 <br> <br>팔순이 넘었지만 가위질은 지금도 섬세하고 정확합니다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하얗게 칠해놓으면 길고 짧은 게 다 나타나. 그러니까 정확하게 깎기 위해서 그래서 이거를 사용하는 거야. <br> <br>[단골 손님] <br>건강하시고, 복도 많이 받으시고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아프지 마, 아프지 마. <br> <br>[단골 손님] <br>감사합니다. <br> <br>한때는 이발사 9명이 함께 일할 정도로 손님이 몰려들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옛날에 이게 60년대, 70년대에는 기계를 이런 거를 썼단 말이야. <br> <br>이발사와 함께 나이를 먹은 이발 도구들. 이가 다 빠져버린 가위지만, 평생 간직할 보물입니다. <br> <br>숙련된 전문가에게 받는 면도는 이발소의 백미!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이야.. 수염이 목까지 났구나. <br> <br>[김진] <br>네. 제가 털이 많아요. 선생님. <br> <br>면도크림을 바른 얼굴에 뜨끈한 수건을 올린 뒤, <br> <br>예리한 면도칼로 조심조심게 수염을 깎습니다. <br> <br>[김진] <br>따뜻하게 면도크림 발라주고 하니까 굉장히 좀 부들부들해서 이거 뭐 피부가 매끈해요. <br> <br>우연한 기회에 찾았다가 단골이 됐다는 젊은 손님도 있습니다. <br> <br>[최석재 (28) / 단골손님] <br>(미용실은) 빨리 자르고 보내는 그런 게 많은데 여기는 천천히 가위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그게 제일 좋은 것 같아요. 만약에 없어진다면 굉장히 아쉬울 것 같아요. <br> <br>[지덕용 (83) / 경력 65년] <br>혜화동, 명륜동에 이발소가 14군데 있었어. 14군데 <br>다 없어지고 나 하나 남았어. 평생 이걸로 먹고 살았으니 이 직업을 고맙다고 생각하고 일 할 수 있을 때까지는 해야지. <br> <br>요란한 쇠망치 소리가 서울 도심 주택가에 울려 퍼집니다. <br> <br>좁은 공간에서 전통 대장간의 맥을 이어나가는 66년 차 대장장이 박경원 씨와 아들 박상범 씨. <br> <br>[박상범 (52) / 2대 대장장이] <br>균형이 안 맞고 때리는 게 잘 안 맞으면 다칠 수도 있으니까 항상 작업할 때 집중해서 해야 해요. <br> <br>벌겋게 달군 쇳덩이를 쇠망치로 연신 두드립니다. 오직 사람의 힘과 기술, 눈썰미로 만드는 전통방식. 경력 66년 장인의 검수를 거치고 나면 도끼 하나가 완성됩니다. <br> <br>[박경원 (82) / 1대 대장장이] <br>내가 65년, 66년 됐는데 나하고 배운 친구들 몇 명 있었는데 그 사람들도 다 죽고 (대장장이) 안 해. <br> <br>열일곱에 상경해 대장간 일을 배운 박경원 씨는 이 자리에서만 45년 넘도록 망치를 잡았습니다. <br> <br>[박상범 (52) / 2대 대장장이] <br>옛날에는 이게(연탑집게) 엄청나게, 우리가 전국으로 많이 팔았어요. 옛날에는, 연탄 많이 쓸 때. 지금은 연탄을 별로 많이 안 쓰고 조금밖에 안 쓰잖아요. <br> <br>요즘은 등산용 지팡이나 캠핑용 장비가 효자상품이 됐습니다. <br> <br>부자의 야무진 솜씨에 단골손님도 많습니다. <br> <br>[박상범 (52) / 2대 대장장이] <br>이가 다 나갔어요. 이거 <br> <br>[단골손님] <br>네 <br> <br>[박상범 (52) / 2대 대장장이] <br>여기를 다 잘라서 만들어야겠는데 <br> <br>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도 있지만 대장간을 찾는 이유가 있다는데요. <br> <br>[단골손님] <br>모양도 좋고, 친절하고, 칼도 잘 갈아주시고, 잘 만들어주시고. 아마 죽을 때까지 쓸 거야. 이거 <br><br>시간이 지나며 손님도 점점 줄어들었지만 대장간 일은 박경원 씨의 삶이자 보람입니다. <br> <br>[박경원 (82) / 1대 대장장이] <br>90세까지는 해야 되는데 아프지 않고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맨날 부처님한테 난 빌어 <br> <br>세월이 멈춘 듯 그 자리에 남아있는 오래된 가게에 그곳을 지나간 사람들의 삶의 흔적도 함께 깃들어 있습니다. <br><br> 김진이 간다, 김진입니다.